요즘 다양한 기업들이 메타버스 시장에 뛰어들고 있죠.? 코로나가 풀리고 대면 활동이 늘어나면서 작년보다 메타버스 수요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메타버스 시장은 2030년까지 43.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요.? 최근 게임,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이어 금융권의 메타버스 진출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우리가 잘 알고있는 신한, 농협, 국민은행 등이 메타버스에 차례대로 탑승하고 있대요!? 메타버스 안에서 즐기는 금융 서비스는 어떤 모습일지 함께 알아볼까요?

메타버스에 진심인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정식 오픈하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어요.? 올해 3월,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시나몬‘의 1차 베타서비스를 공개했는데요.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가상 공간 내에 미니게임을 즐길 수 있는 가상 놀이터를 만들고, 대출/예금 적금/청약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소개했어요.? 또 모임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과 편의점을 만들어 체험의 폭을 넓혔는데요. 특히 신한은행을 대표하는 캐릭터를 잡으면 술래가 되는 ‘쏠래잡기’ 이벤트는 베타테스트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해요. 가장 많이 잡은 우승자에게 포인트 ‘골드’를 주면서 재미를 한층 높였죠.?베타테스트 기간동안 가장 많은 골드를 획득한 사람에게는 상품을 증정했다고 해요! 또 최근에 공개한 2차 베타테스트에서는 가상 재화 ‘츄러스‘를 새롭게 선보였는데요. 미니 게임이나 미션 수행을 통해 얻은 츄러스를 활용해 적금, 청약 등 가상의 상품에 가입하고 금융활동으로 츄러스 이자를 받을 수 있도록 구현했어요.? 흥미로운 점은 주택청약 상품도 가상 세계에 적용한 점인데요.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일정 회차 이상을 납입하면 가상 공간의 주택을 청약할 수 있고, 당첨하신 분께 가상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래요.? 현실세계처럼 말이죠! 이외에도 메타버스에 진심인 신한은행은 메타버스 플랫폼 ‘시나몬’에 다양한 즐길거리를 만들어 놓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보실 수 있어요!

츄러스 청약, 우대 금리 혜택이 있다고?

신한은행 시나몬

신한은행은 2차 베타테스트에서 가상 재화 ‘츄러스’를 새롭게 선보였는데요. 시나몬에 놀러 온 고객은 미니 게임이나 미션 수행, 이벤트 참여 등을 통해 츄러스를 얻을 수 있어요. 또 가상 자산을 활용해 가상의 주택청약 상품을 가입하여, 당첨자에게 가상 공간을 제공할 예정인데요. 국내외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부동산(랜드)’는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시나몬의 청약 콘텐츠는 큰 기대를 받고 있죠. 무엇보다 현실세계의 청약 상품을 가상 공간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데요. 이외에도 NH농협은행의 독도버스처럼 금융상품에 우대금리를 적용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고 해요. 

다른 은행의 행보는 어떨까?

농협과 신한은행은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어 메타버스 시장에 도입했고, 다른 은행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메타버스와 금융을 연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먼저 하나은행은 더 샌드박스와 손을 잡아 글로벌 메타버스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어요. 더 샌드박스는 하나은행과 함께 뱅킹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샌드박스 생태계 참여사에 대한 투자 및 콜라보 추진 등 공동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특히 더 샌드박스는 K-콘텐츠를 담은 가상 공간인 K-verse(케이버스)에서 하나금융그룹을 소개해 MZ세대에게 친숙한 모습으로 다가갈 예정이래요.


독도버스 같이 탈 사람!?

독도버스

처음 살펴볼 은행은 NH농협은행인데요. 최근 농협은행은 핀테크 전문기업 ‘핑거’와 손을 잡고 메타버스 플랫폼 ‘독도버스‘를 오픈했어요. 독도버스는 가상공간 속 독도에서 아바타를 이용해 농사, 낚시, ESG활동의 미션을 수행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인데요.? 미션을 수행하면 가상자산 ‘도스(DoS)’를 획득할 수 있다고 해요. 

향후 가상자산은 NFT나 P2E 방식으로 활용될 예정인데요.?캐릭터가 독도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땅에 농사를 지으면 현실 세계에서 물고기나 쌀을 집으로 배송해 주는 온오프라인 연계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해요!? 이외에도 농협은행은 메타버스 내에서 금융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는데요. 가상공간에서 미션을 완료한 고객에게 실제 금융상품 가입시 금융수수료 혜택을 줄 예정이라고 해요! 이러한 혜택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보여요.? 다음 달 8월 15일 광복절에 맞춰서 오픈할 예정인데요. 지금은 오픈베타로 공개되어 있어 앱을 다운로드하면 미리 체험해볼 수 있어요!

디파이킹덤

최근 해외에서 디파이 플랫폼인 ‘디파이킹덤(Defi-Kingdom)’도 독도버스와 유사한 형태의 보상 체계를 갖추고 있어요. 캐릭터를 NFT로 사고 팔 수 있으며, 낚시와 정원 가꾸기 등을 통해 플랫폼 내 가상자산을 보상으로 얻을 수 있죠. 그리고 아직 한국에서는 P2E게임 도입이 자유롭지 못한 반면, 디파이킹덤은 P2E 게임으로 활용되고 있어요. 가상자산 규제 방향에 따라 독도버스는 추후 디파이 플랫폼처럼 확장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은 메타버스 금융⛰

은행들의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해 알아보면서 어떻게 메타버스 플랫폼에 은행 서비스를 도입하는지 알 수 있었죠.? 하지만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실제와 같은 금융 서비스를 현실화하려면 많은 규제가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요. 여러 규제들로 가로막혀 있어 금융 상품을 자유롭게 판매할 수 없고, 가상 자산의 범위가 모호해서 가상 공간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해요.? 이러한 규제들로 인해 지금 단계의 메타버스 금융 서비스는 미완성의 모습으로 보여질 수 밖에 없는데요. 앞으로 여러 규제가 완화되고 정립하면서 완성도 높은 메타버스 금융 서비스로 발전해나갈 것으로 보여요. 언젠가는 가상에서 모든 은행 업무를 처리하고, 가상 자산을 관리하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다음주에도 흥미로운 메타버스 관련 업계 소식을 갖고 돌아올게요!

Share post: